본문 바로가기

독일 자동차 세상/독일의 자동차 문화 엿보기

독일에서 운전하다 욕 바가지로 먹은 사연

오늘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나 해볼까 하는데요. 독일에 온 지 얼마 안 됐을 때 일입니다. (물론 독일에서 운전한 지 얼마 안 된 때이기도 합니다.) 한국과 독일은 운전면허증을 서로 인정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딴 면허증을 독일 면허증으로 교환할 수 있었습니다. 그 덕(?)에 독일에서 별도의 면허 시험 없이 바로 운전할 수 있죠.

 

그런데 막상 운전을 하다 보니 한국과 독일의 도로 문화 차이가 제법 크게 느껴졌습니다. 기본 교육이라도 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을 만큼 모르는 것들이 많았고,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선 못 본 교통표지판을 익혀야 했고, 철저하게 규칙에 따라 운전하는 아우토반은 그 이용 규칙이 몸에 익을 때까지 상당히 조심스럽게 이용을 해야 했습니다.

 

독일에서 운전대를 잡고 바로 든 생각이 내가 한국에서 하던 대로, 습관적으로 운전하면 안 되겠구나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만큼 여러 부분에서 달랐죠. 이쯤에서 사진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동네 일각 / 사진=스케치북다이어리

 

사진 속 장소는 넓은 공터처럼 보이지만 자동차와 보행자 등이 함께 이용하는 이면도로가 있는 곳입니다. 주택가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여기서 자동차는 시속 10km 전후로 주행을 해야 하죠. 우체국, 빵집, 정육점 등, 시민들이 애용하는 상점들이 근처에 있어 차를 가지고 오는 이들이 많습니다.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글 스트리트뷰 사진을 하나 더 보여드리겠습니다.

구글 스트리트뷰 캡처

 

앞서 보여드린 사진에 노란색으로 표시가 된 곳이 누구나 주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된 차로는 좌우측 2곳입니다. 그러니까 자 형태의 공간인 건데요. 이사 오고 얼마 안 있어 저곳에 처음 주차를 하게 됐습니다. 당시 동네 자체가 익숙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비가 많이 오는 탓에 더 긴장을 했습니다. 주차를 얼른 끝내야겠단 생각밖에 없었고, 그래서 별생각 없이 좌측 길로 차를 운전해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반대쪽에서 나오던 차의 운전자가 저를 향해 막 손가락질을 하며 호통치는 것이었습니다. 뭔가 단단히 화가 많이 난 모습이더군요. 과속을 한 것도 아니고, 경적을 울린 것도 아니었고, 특별히 문제 될 게 없다고 생각했던 저는 동양인 운전자에 대한 인종차별인가? 싶어 갑자기 화가 났습니다. 그런데 제가 큰 실수를 했다는 걸 주차 후에 알게 됐습니다.

 

차들이 전부 제가 들어온 길이 아닌 반대편, 그러니까 사진상 우측의 길로 들어오고 있었던 겁니다. 예상하셨겠지만 저는 진입이 금지된 곳으로 차를 몰고 들어갔습니다. 얼핏 보면 표지판 같은 게 잘 눈에 띄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바닥에 친절하게 일방통행, 진입금지 등의 문구가 적혀있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분명히 일방통행(Einbahnstraße)’이라는 표지판이 진입 방향을 알려주고 있고, 진입이 금지된 쪽에도 들어가면 안 된다는 표지판이 있었습니다. 그때 왜 저 표지판을 못 봤었는지, 지금 생각해도 이해가 안 갑니다.

이곳으로 들어간 것;; (진입금지 표지판 아래 '자전거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을 알리는 표지판도 함께 있다) / 사진=스케치북다이어리

 

이 표지판이 있는 쪽으로 진입해야 함; / 사진=스케치북다이어리

 

어쨌든 이때의 아찔한 경험으로 인해 저는 독일이든 유럽 어디든, 익숙한 길이든 초행길이든, 내비게이션으로 안내를 받든 안 받든, 운전할 때 꼭 교통표지판을 먼저 살폈고, 그렇게 습관을 철저하게 익혔습니다. 그런 덕인지 오랜 세월 운전하면서 접촉 사고는 물론이고 과속으로 인한 범칙금을 무는 일도, 역주행을 하거나 표지판 미숙지에 따른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교통표지판이 크든 작든, 그곳에 세워져 있다는 것은 다 이유가 있는 것이며, 그 표지판 안내에 따라 운전하면 어떤 문제도 겪지 않는다는 것을 먼 독일이라는 곳에서 다시 한번 깨닫게 됐습니다. 며칠 전 오랜만에 같은 장소에 주차를 하면서 그때 실수가 떠올라 이렇게 글을 써봤는데요. 여러분도 어디서 운전을 하든 교통표지판 확인하는 습관꼭 가지셨음 합니다. 안전 도로 문화 만들기의 기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