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21년 결산에서 드러난 독일의 테슬라 쇼크 독일의 2019년 신차 판매량은 약 3백6십만 대였습니다. 시장은 계속 성장 중이었고, 2020년은 별다른 일만 없다면 연간 판매량이 처음으로 4백만 대를 넘기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했죠. 하지만 팬데믹으로 2020년 신차 판매량이 3백만 대를 넘기지 못한 것은 물론, 이듬해인 2021년에는 반도체 칩 부족이라는 복병을 만나며 판매량이 더 줄어 2백6십만 대를 겨우 넘긴 것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눈에 띄는 지표가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폭스바겐의 국민차 골프Golf의 끝없는 추락, 그리고 테슬라 모델 3의 가파른 상승세가 교차한 한 해였다는 점입니다. 폭스바겐은 지난해 독일에서 총 489,962대의 자동차를 팔았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6.8% 마이너스 성장을 했지만 2위인 메르세데스.. 더보기
계약하면 4년 기다려야 하는 자동차들이 있다? 요즘 반도체 칩 부족 사태로 자동차를 주문하고 나서도 배송될 때까지 많은 시간을 인내하며 기다려야 한다는 뉴스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반도체 칩 부족과 상관없이 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오랜 시간, 무려 4년을 기다려야 하는 차들이 있습니다. 이거 실화냐 물으신다면 “네. 실화 맞습니다.” 4년이라면 보통 일반 양산 모델을 기준으로 본다면 페이스리프트 기간과 맘먹는 시간입니다. 출시 주기가 빠른 자동차라면 세대교체가 곧 이뤄질 만한 그런 기간이죠. 그런데 이 차들은 아주 희귀한 스포츠카도 아닙니다. 작은 카로체리아에서 사람들이 손으로 만드는 수제차도 아닙니다. 도대체 무슨 차이기에 이럴까요? 두 개 모델인데 하나는 토요타의 랜드크루저입니다. 토요타가 1951년부터 내놓기 시작한 오프로.. 더보기
2021년 국가별 가장 많이 팔린 자동차 TOP 3 2021년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가 터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2020년보다 더 힘든 한 해를 보냈습니다.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으로 많은 자동차 공장 가동이 일시적으로 멈추기도 했습니다. 반도체 칩을 비교적 미리 잘 확보한 곳(BMW 같은)은 판매량을 늘릴 수 있었고, 그렇지 못한 곳은 전년 대비 큰 감소 폭을 보였습니다. 어쨌든 어려운 가운데 한해 장사를 마쳤고, 그 결과를 여러 언론이 다양한 방법으로 보도 중입니다. 최근 글로벌 온라인 자동차 매체인 모터1(motor1)이 자체 네트워크를 동원(?)해 12개 국가에서 가장 많이 팔린 자동차가 무엇인지 공개해 그 내용을 소개할까 합니다.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미국 시장 판매량 TOP 3 (총판매량 : 15,060,287대) 1위 : 포드 F-시리즈.. 더보기
현대∙기아 독일에서 판매량 늘어난 이유 2021년 독일에서는 총 2,622,132대의 신차가 판매됐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약 10% 정도 줄어든 결과였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독일 판매량이 눈에 띕니다. 전체적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은 와중에 두 브랜드가 판매량을 늘렸기 때문입니다. 자료 : 독일연방자동차청 1위 : 폭스바겐 (489,962대, 전년 대비 -6.8%) 2위 : 메르세데스 (225,392대, 전년 대비 -25.7%) 3위 : BMW (222,481대, 전년 대비 -7.7%) 4위 : 아우디 (181,877대, 전년 대비 -15.0%) 5위 : 오펠 (161,852대, 전년 대비 10.7%) 6위 : 스코다 (149,838대, 전년 대비 -17.3%) 7위 : 포드 (126,358대, 전년 대비 -35.0%) 8.. 더보기
'타이칸 실주행거리 무엇?' 전기차들 도로 테스트 결과 보니 전기차에 대한 평가 항목 중 아직까지는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배터리 성능입니다. 그 성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한 번의 충전으로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느냐인 것인데요. 제가 여기서 ‘아직까지는’이라고 표현한 것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 효율성이나 능력 편차가 지금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좋아진다는 얘깁니다. 그러나 현재, 지금 당장 전기차 사는 것을 고민 중인 분들에겐 ‘지금’ 배터리 능력이 중요한 것이고, 그래서 이런 부류의 자료에 시선이 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전기차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매체 중에 InsideEVs라는 곳이 있습니다. 전기차 정보를 비교적 풍성하게 제공하는 곳이 아닌가 싶은데요. 미국은 물론 남미와 유럽 각국에서 활약을 하.. 더보기
사람 냄새만 나도 멈춰 서는 횡단보도 풍경 새해가 밝았습니다. 해가 바뀌면 운전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교통 관련 법규들이 있기 마련이죠. 2022년 신년 교통 관련 이슈라고 하면 ‘횡단보도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 시 이에 대한 엄격해진 감독’이 아닐까 합니다. 기존에는 우회전한 후에 만나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발견했어도 반대편에서 막 건너오거나 또는 이미 반대편으로 보행자가 많이 건너간 상태라면 서행해 횡단보도를 지나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횡단보도 내에 사람이 있다면 무조건 멈춰야 합니다. 만약 이를 무시했다 단속에 걸리면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으로 승용차 기준으로 벌점 10점에 6만 원의 벌금을, 그리고 2~3회 위반했을 때는 보험료 5%, 4회 이상 위반 시엔 10%의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또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도 .. 더보기
'십만 킬로 타봤더니...' 독일 전문지 23개 SUV 내구테스트 순위 자동차 내구성에 대한 검증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집니다. 지난 글에서는 독일의 튀프리포트를 소개했는데요. 튀프리포트는 1천만 대에 이르는 자동차 정기검사 결과를 결함률 중심으로 분석해 발표하는 자료를 말합니다. 이번에는 또 다른 내용으로, 독일 대표적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가 직접 차를 구입해 10만km 이상 타본 후에 주행 과정에서 일어난 고장을 기록한 내용입니다. 고장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데크라DEKRA와 같은 공인된 검증 기관의 전문가들이 차를 아주 완전히 분해해 부품의 상태까지 꼼꼼히 분석하죠. 자기들 돈 주고 차를 사서 직접 체크한 것이니까 제조사 눈치 볼 일도 없습니다. (사실 아우토빌트쯤 되면 제조사가 눈치를 보니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아우토빌트는 2014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더보기
벤츠? 포르쉐? 독일에서 조사한 결함 적은 자동차들 다양한 자동차 문화가 있는 독일. 그중에서도 ‘결함 리포트’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의미 있게 보는 독일 자동차 관련 정보 중 하나입니다. 독일에선 매년 2천만 대 전후의 자동차가 튀프(TÜV)나 데크라(DEKRA)와 같은 공인인증기관에서 정기검사를 받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분석된 정기검사 결과는 자동차 전문지들과 협력해 잡지 형태로 제공되죠. 가장 유명한 건 ‘튀프 리포트’입니다. 올해도 튀프는 아우토빌트와 함께 정기검사 결과를 ‘2022 튀프 리포트’라는 제목으로 공개했습니다. 960만 대 이상의 자동차가 지난 1년 동안 튀프에서 정기검사를 받았고 2~3년 차, 4~5년 차, 6~7년 차, 8~9년 차, 그리고 10~11년 차로 나뉜 모델들은 ‘결함 없음’ ‘경미한 결함’ ‘중대 결함’ 중 하나를 결과로.. 더보기
BMW 전기 세단 i4 대박나나요? BMW는 올해 3월 중형 전기 세단 i4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당시 이 차의 디자인에 대한 독일 내 반응이 나왔고, 스케치북다이어리에서 소개해드렸습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되게 혁신적 느낌은 아니지만 나쁘지 않다. 낫 배드’ 이런 정도였습니다. 반대 목소리도 있었지만 기대하는 분위기가 조금 우세했다는 것이 그때의 인상 평가였습니다. 그러는 동안 BMW는 자신들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통해 나온 첫 번째 모델 iX로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음을 알렸습니다. 전장이 거의 5m에 달하는 고가의, 고급 전기 SUV인데요. 이 얘기는 전체 판매 볼륨을 예상했을 때 iX가 BMW의 주력 전기차라고 하긴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BMW가 많이 팔아 많은 돈 벌기를 기대하는 건 어떤 걸까요? 네. 지.. 더보기
심해지는 자동차 리콜, 이대로 가다간 임계점 넘는다 자동차 리콜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자동차리콜센터(car.go.kr)에 올라온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리콜된 자동차 수가 200만 대를 넘겼고, 이후 2020년까지 3년 연속 200만 대를 넘어섰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12월 초까지 약 230만 대의 자동차가 리콜 대상입니다. 2011년 리콜된 자동차의 수가 268,658대였으니 10년 만에 거의 10배가 된 셈입니다. 리콜은 국산차와 수입차를 가리지 않습니다. 국산 브랜드는 제동장치와 전기장치, 그리고 동력발생장치 등이 리콜의 주요 원인이었으며, 수입차의 경우 전기장치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 동력발생장치 순입니다. 일각에서는 우리나라 운전자, 그러니까 소비자가 과거와 달리 제품을 꼼꼼하게 체크하고 문제에 적극 대처하는 태도의 변화를.. 더보기